'선박수리업 민·관 토론회'개최

▲ 2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선박수리업 민·관 토론회'
경남지역의 중소조선소를 수리조선소로 전환해야 한다는 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상남도가 주관하고 경남 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이 후원하는 ‘선박수리업 민·관 토론회’가 창원 컨벤션 센터에서 2일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김완상 사무관, 한국해양대학교 김길수 교수, 효산물산 황정찬 대표가 참석해 토론회를 진행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김완상 사무관은 이날 토론회에서 ‘선박수리·개조업 지원방향’의 주제로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조선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에 맞춰 선박수리 사업과 같은 신산업에 진출하는 기업에게 4가지 부문으로 나눠 지원 한다. 먼저 조선기자재업체 및 조선관련 업체가 다른 업종으로 사업 재편을 할 경우, 재무건정성과 수익성을 평가하고 산업부로부터 승인을 받아 M&A 자금과 초기설비 구축비, 운영자금 지원 등으로 나눠 지원할 예정이다.

이어 현재 싱가포르 말레시아에서 수리하고 있는 가스공사 및 발전 5개사 공기업이 하고 운용하고 있는 97척과 국내 관공선 400여척에 대한 선박수리 및 개조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조선 퇴직인력 활용을 위해 조선소 퇴직인력 천여명을 2020년도까지 선박수리 및 개조 전문인력으로 양성할 예정이다. 또한 현존하는 디젤 연료선박을 친환경 LNG선박으로 개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한국해양대학교 김길수 교수는 ‘한국선박수리 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김길수 교수는 “그동안 선박수리산업 효과가 큼에도 정부의 지원이 전무했다. 또한, 신조선 분야의 호황으로 수리분야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김길수 교수는 국내 선박수리산업의 경쟁력이 싱가폴과 중국보다도 떨어지지만 잠재력은 뛰어나다며 선박수리산업은 기본수요가 많아, 향후 친환경 LNG선으로 전환하거나 BWMS 개조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싱가폴에 국내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 김길수 교수는 5년마다 중간·정기검사를 실시하는데 선박수리 및 개조를 위해 중국, 싱가폴에 나가야 한다. 이에 국내 기술력이 해외에 유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의 임금은 국내보다 70% 낮지만 생산성은 60~80%이다. 이에 따라서 임금과 수리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보면 수리선종에 따라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지역이 선박수리산업에 유리하다고 제기됐다. 김길수 교수는 “부산 중심의 국내 선박수리산업은 영세하고 열약해 경쟁력 저하의 요인이다. 특히, 부산은 전지역이 도시화로 선박수리할 곳이 없어, 수리조선소가 들어설 장소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남지역은 수심이 깊고 입지조건이 좋고 통영에 LNG기지가 있어 LNG선이 많이 기항하면 특화된 수리시설로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췄다는 것이다.

김길수 교수는 경남지역에 선박수리조선소가 설립되면 4700명의 고용효과가 기대되고 수리산업이 활성화되면 1500~3000여명이 추가로 고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효산물산 황정찬 대표가 ‘친환경 수리조선소 운영방안’의 주제로 발표했다. 황정찬 대표는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에서 선박수리업을 전문적으로 해왔다.

황정찬 대표는 경남지역 선박수리사업의 입지조건이 중국, 싱가폴, 일본보다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으로 선박이 대형화되고 있는 변화에 맞춰 대형 수리도크가 필요하고 조수간만의 차이와 지진, 해일, 태풍이 없고 수심이 깊은 경남이 최적지라고 밝혔다.

국제적 친환경 규정에 따른 LNG 전문 수리조선소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황정찬 대표는 “2020년 ECO선박만이 EU를 항해할 수 있다. 이는 전 세계 운항선박의 약35%를 차지하고, 매년 170여척의 LNG선박이 수리됨에 따라 LNG 전문수리조선소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다 친환경적이 수리조선소를 위해 육상에서 전기를 공급 하고 수리선박의 폐유·수를 전량수거, 미세먼지와 소음 및 진동 차단해 IMO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친환경 대형수리조선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현재 경남지역의 중소조선사가 수리조선소로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경남지역 어민들의 수리조선소 건립반대, LNG선 수리 경험부족과 높은 수리비용 문제 등이 제기됐다.

한국해양플랜트선박수리업협동조합 최정돌 이사장은 “현재 선박수리산업의 기반을 확고히 해두지 않으면 한국은 신조선산업에 이어 선박수리산업 마저 중국과 싱가폴에 빼앗기고 말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최정돌 이사장은 “중·대형 선박수리조선소에 대한 투자와 운영을 위해 한국해양수리조선(주)을 설립해 선박수리산업을 위한 각 기관 및 단체와의 MOU를 맺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