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중국센터, 중국 진출 화주기업 대상 설문
높은 물류비용 및 비용 상승 애로점 1순위 꼽아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 화주기업들의 물류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은 최근 동향분석을 통해 중국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애로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하고 중국 현지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제2위 투자국이자 제조업의 최대 해외 투자 거점이다. 2018년 6월까지의 역대 누계 기준으로 중국은 투자 신고건수로는 1위, 투자금액으로는 미국에 이은 2위의 우리나라 직접투자 대상국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가 감소되는 추세에 있긴 하지만 여전히 중국은 우리나라의 제1위 제조업 투자국이다.

KMI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중소·중견 화주기업의 물류애로 요인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물류기업에 전파하고, 정부 차원의 방안을 모색하자는 취지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넓은 국토 등을 고려해 화북, 화동, 서남, 화남 4개 권역에 진출한 기업 중 총 167개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물류관리 현황 및 애로요인, 글로벌 공급사슬 현황, 자사의 기본정보에 대한 사항의 크게 세 부분의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했다.

그 결과 응답기업의 종사 업종은 기타업종을 제외하고 전기·전자업종이 전체의 약 25.7%로 가장 많았고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화주들의 73.2%가 물류업무를 아웃소싱하며 물류파트너로는 중국 현지 물류기업의 비중이 49.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 화주들을 대상으로 한 경쟁에서도 한국 물류기업이 다소 열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류 파트너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50.6%로 ‘만족(매우 만족 포함)’ 45.1%보다 높아 응답 기업들은 아웃소싱 물류기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KMI는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 기업들은 설문에서 제시된 물류 애로요인 중에서 ‘높은 물류비용 및 물류비용의 지속적인 상승(35.0%)’을 1순위 애로로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이어서 ‘복잡하고 까다로운 통관과 검사검역’, 현지 물류기업의 서비스 마인드 및 유연한 서비스 부족 등의 순이었다. 특히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선택한 항목의 합계에서는 ‘복잡하고 까다로운 통관절차(검사·검역포함)’가 가장 많이 채택되어, 화주기업들은 화물 통관 및 검사·검역에 여전히 큰 애로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주기업들의 물류애로 개선을 위해 물류기업이 개선 및 중점 추진해야 할 과제에는 ‘인증 및 검사검역 서비스 지원 역량 강화’가 1순위로 가장 많이 선택됐으며 ‘국제운송 서비스 강화’, ‘하역·통관 서비스 강화’, ‘SCM 서비스 제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현지 물류애로 개선을 위해 우리나라 정부가 추진해야 할 지원 정책으로는 ‘현지 한국인 물류인력 확보 및 교육 지원’이 1순위로 가장 많이 선택됐으며, ‘중국 통관, 인증, 검사검역 제도 변경에 대한 정보 제공’, ‘현지 공동물류센터 설립 지원’, ‘불합리한 통관, 검사검역 등 애로를 중국 측에 지속 전달 및 개선 요구’ 등의 순이었다.

KMI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볼 때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중소·중견 화주기업들의 물류애로 및 서비스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자체적인 경쟁력 강화 및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먼저 우리 물류기업은 중국 현지기업과의 협력, 한국 기업 간 ‘얼라이언스’ 구축 등을 통해 네트워크 강화 등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며, 특히 서남권역에서는 ‘로컬 물류기업’에 아웃소싱 하는 비중이 60% 이상으로 우리나라 물류기업 들의 내륙 진출 및 현지 기업과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 정부 역시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화주기업들의 정부지원 요청에 대한 정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KMI는 주장했다. 우선 현지에 상주하며 물류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한국인 물류인력을 교육시켜 현지에 보내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전반적으로 ‘높은 물류비용 및 물류비용 상승’에 대해서 큰 애로를 느끼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방향에서 KOTRA, 항만공사, 한국무역협회,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관련기관과 협력하여 정부투자 형태의 공동물류센터를 설립하거나 물류센터에서의 공동배차 운행 등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KMI는 밝혔다.

특히 권역별로 물류애로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KMI는 강조했다. 예컨대 응답기업의 현지 사업에서 물류애로는 '높은 물류비용 및 물류비용의 지속적인 상승'이 화남, 화북, 화동권역에서 가장 컸으며, 서남권역에서는 '중국 정부의 물류관련 규정 개정 등 대응 곤란'이 1순위로 많이 지목됐고 믈류애로 개선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으로는 화남과 화북에서는 '불합리한 통관, 검사검역 등애로를 중국 측에 지속 전달 및 개선요구'가, 서남에서는 '현지 공동물류센터 설립지원', 화동에서는 '현지 한국인 물류인력 확보 및 교육 지원'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이처럼 각기 다른 물류애로점과 이에 따른 맞춤형 정부 지원책을 써야 한다는 것이 KMI의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응답 기업들의 애로요인 및 개선방안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통관, 인증, 검사’ 등 ‘핵심’ 애로와 관련해서는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및 한국화학 융합시험 연구원 등이 운영 하고 있는 중국 진출 기업에 대한 인증, 검사검역 지원제도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KMI는 밝혔다. 또한 현재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운영하고 있는 ‘통관·세무지원센터’를 다른 권역에도 확대하여 통관 애로에 대한 상시적인 채널을 구축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