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무 부회장 “해운상생 생태계 붕괴 우려”
“자회사 설립 철회하고 상생방안 마련하자”

▲ 한국선주협회 김영무 상근부회장

공생을 강조하며 스스로 국민기업이라 일컫는 포스코가 물류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는 것은 정부 정책에 전면 배치되는 행위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가 19일 개최한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 관련 해양산업계 합동기자회견’에서 한국선주협회 김영무 상근부회장(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사무총장)은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이 해운항만물류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브리핑하면서 이와 같이 지적했다.

김영무 부회장은 “대형 화주기업들이 자가 또는 2자 물류를 선호하면서 투자비용이 증가하고 물류전문기업의 발전이 저해되는 악순환 구조가 이어져왔다. 그러나 정부가 제3자 물류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면서 물류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물류전문기업이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고 있다.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어렵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선순환 구조의 물류시장을 다시 악순환 구조로 역행시키게 될 것이다. 이는 정부 정책에 전면 배치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이 제3자 물류시장의 성장을 저지하고 물류시장의 혼란을 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포스코 물류자회사는 모기업 물량과 3자 물량 등 막대한 물량을 등에 업고 수퍼 갑의 위치에 올라 해운업, 항만물류업, 운송사, 화물차주 등에게 운임 인하를 강요해 물류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 부회장은 이와 같은 포스코 물류자회사가 당장은 성장하겠지만 다른 대기업 물류자회사와 마찬가지로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DHL, UPS, 페덱스, 머스크 등 세계적인 물류기업들은 육상, 해상, 항공 등 물류수송수단을 활용해 직접 물류업무를 진행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해나가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기업 물류자회사들은 모기업과 3자 물류업계 사이에 끼어 통행세 위주로 성장하다보니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으로 그동안 포스코와 해운항만물류기업들이 오랫동안 구축해왔던 상생협력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이 가장 안타까운 일이라고 밝혔다. 포스코는 그동안 해운항만물류기업들과 상생협력하면서 다른 국내 제조 대기업보다 물류비용을 크게 줄여왔다. 매출원가에서 물류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포스코가 2.4%로 국내 제조대기업 평균 6.6% 보다 대단히 낮다. 이는 결국 포스코가 해운항만물류기업들과 상생하면서 저렴하고 우수한 품질의 운송서비스를 제공받았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게 선주협회의 분석이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는 물류통합회사를 통한 해운업 진출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지만 결국은 해운업에 진출하게 될 것이다. 포스코는 지자체에 신고만 하면 물류주선업에 바로 진출할 수 있고 해운업도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현행법으로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철강제품의 경우 해운법상 대량화물이 아니기 때문에 해운업 등록이 바로 가능하고 철광석, 석탄 등 제철원료 수송의 경우도 포스코가 지분 40% 이하인 물류자회사를 만들면 해운업 등록이 가능하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는 수십년간 상생해온 당사자들과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물류자회사 설립을 결정해 놓고 업계가 반발하자 소통이 부족했었다는 반응을 내놨다. 포스코는 외부와의 소통뿐만 아니라 내적인 소통에는 문제가 없었는지 진지하게 검토하고 물류자회사 설립 결정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부회장은 “선주협회는 그동안 정기선 분야에서 대기업물류자회사들과 상생을 추진하면서 해운법과 조특법 개정안을 마련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앞으로 벌크 분야에서도 포스코를 포함한 대량화주들과도 상생 방안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