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영향, 전년대비 –9.9% 기록
컨테이너 물동량은 9월이어 증가세 지속

감소폭이 완화되어 가던 전국 무역항 항만 물동량이 10월 들어 다시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컨테이너 물동량은 9월에 이어 10월에도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면서 두 달 연속 증가에 성공했다.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10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2708만톤으로 전년 동월(1억4103만톤) 대비 9.9% 감소했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유류 물동량 감소와 발전용 연료(유연탄 등)의 수입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1억2091만톤) 대비 10.3% 감소한 총 1억848만톤으로 집계됐는데,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2일) 영향을 고려하면 그간의 물동량 감소세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수부는 분석했다.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9월에 이어 10월에도 전년 대비 0.1% 증가한 249만teu를 기록했다.

연안 물동량의 경우 시멘트 및 연안모래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석유정제품 및 화학공업생산품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2012만톤) 대비 7.6% 감소한 총 1860만톤을 처리했다.

항만별(중량기준)로 보면 광양항은 여전히 감소세(22.8%↓)를 유지하고 있으나 부산항은 전월 대비 감소세가 일부 완화됐고, 인천항과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7%, 2.8% 증가를 보이는 등 항만별로 회복세가 파악됐다.

‘컨’화물, 코로나19 이전 물동량 상당 회복

10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월(249만teu) 대비 0.1% 증가한 249.2만teu를 기록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물동량 감소세가 상당부분 회복된 것으로 파악된다.

수출입은 전년 동월(140만teu) 대비 0.3% 증가한 140만teu를 기록했는데,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2일) 감소 영향을 고려하면 9월부터 회복세가 지속(전월대비 3.5%↑)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 동월(108만teu) 대비 0.1% 증가한 108만teu를 기록했다.

한편, 전년 동월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소폭 증가(1.4%↑)했고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5.7%↓)은 감소했으며, 컨테이너 화물 중량(내품*)을 기준으로 2020년 10월 처리량은 4,390만톤(9.2%↓)으로 집계됐다.

주요 항만별로 살펴보면, 감소세가 완화되거나 물동량이 회복되는 동향이 파악된다.

부산항은 전년 동월(188.3만teu) 대비 0.3% 감소한 187.6만teu를 기록했는데, 환적물량을 중심으로 물동량 회복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출입은 전년 동월(85.8만teu) 대비 4.0% 감소한 82.4만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미국(10.3%↑)을 제외한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감소(중국1.1%↓*,일본17.2%↓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미주(1.8%↑), 유럽(7.5%↑), 극동아시아(5.1%↑) 항로 위주로 증가했으며 8월 이후 지속 증가(39만 → 40만 → 41만teu)하고 있다. 환적은 전년 동월(102만teu) 대비 2.7% 증가한 105만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3.8%↑, 미국 1.9%↑)의 환적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19.5만teu) 대비 13.0% 감소한 17.0만teu를 기록했지만, 수출입 물동량의 경우 회복세를 보였다.

수출입은 전년동월(15.0만teu)대비 1.9% 증가한 15.3만teu를 처리했는데,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감소(미국 20.1%↓,일본 1.9%↓등)에도 불구하고 중국(12.6%↑)의 물동량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 동월(4.5만teu) 대비 62.7% 감소한 1.7만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기항서비스(중남미(머스크)) 중단, 선대 축소(얼라이언스 서비스 통합)에 따른 환적물량 이탈 영향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 동월(26.3만teu) 대비 7.4% 증가한 28.2만teu를 기록했는데, 수출입 물량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출입은 전년 동월(25.9만teu) 대비 6.4% 증가한 27.6만teu를 처리했는데, 연초 신규항로 개설효과가 지속(10월 중국 8.5%↑,베트남 12.8%↑)된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 동월(3천teu) 대비 소폭 증가한 6천teu를 처리했다.

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9월 기준 누적 총 물동량(teu)은 전년 동기대비 1.1% 감소했으나, 3분기 들어 세계 10대 항만의 물동량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항만의 반등 또한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상해항의 9월 기준 누적 물동량은 3165만teu(전년동기대비3.7%↓)로 세계 1위를 유지했고, 싱가포르항(2724만teu, 0.9%↓), 닝보-저우산항(2136만teu, 0.5%↑), 심천항(1891만teu, 2.1%↓), 광저우항(1697만teu, 0.8%↑), 청도항(1605만teu, 2.3%↑)이 2~6위를 기록했다. 부산항(1604만teu, 2.3%↓)은 세계 7위(전년동기 6위)를 기록했고, 천진항(1377만teu, 5.2%↑)이 그 뒤를 이었다.

부산항은 글로벌 물동량 회복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선사 비대면 마케팅 및 온라인을 통한 환적 네트워크 강화 등을 지속하고, 필요시 인센티브 부여 등 물동량 유인책 또한 검토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10월 비‘컨’화물, 전년比 10.2% 감소

전국 항만의 10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318만톤으로 전년 동월(9267만톤) 대비 10.2% 감소했으나, 인천항과 평택·당진항, 포항항 등 일부 항만에서 증가세를 나타냈다.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원유, 석유정제품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유연탄의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전년 동월(2369만톤) 대비 21.8% 감소한 1853만톤을 기록했다.

울산항은 휘발유 등 연료유 제품 수요 약세 및 주요 수출국 자동차 수요 위축 등으로 인한 차량 물동량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607만톤) 대비 3.4% 감소한 1553만톤을 기록했다.

인천항은 제조업 가동률 상승 등으로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연안모래 물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년 동월(814만톤) 대비 10.9% 증가한 903만톤을 기록했다.

평택·당진항은 철광석 물동량이 감소했으나, 유연탄 물동량과 석유가스 관련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881만톤) 대비 2.5% 증가한 903만톤을 기록했다.

대산항은 석유정제품(스티렌모노머, 파라자일렌 등)의 수요 감소와 동서발전 당진화력본부의 유연탄 수입량 감소로 전년 동월(827만톤) 대비 14.5% 감소한 707만톤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8.5%, 4.8%, 20.5%, 14.1% 감소했다.

유류는 국제 수요 감소에 따른 석유정제품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3930만톤) 대비 8.5% 감소한 3597만톤을 기록했다.

광석은 호주와 브라질의 철광석 생산 재개 등의 영향으로 일부 항만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전체적으로는 전년 동월(1243만톤) 대비 4.8% 감소한 1183만톤을 기록했다.

유연탄은 제철용 원료탄 수입이 증가한 포항항, 평택·당진항 등의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화력발전소가 있는 보령항, 태안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1245만톤) 대비 20.5% 감소한 990만톤을 기록했다.

자동차는 세계적인 경기 위축에 따른 주요 차량 수출국의 자동차 수요 위축으로 전년 동월(685만톤) 대비 14.2% 감소한 588만톤을 기록했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시장이 3분기부터 회복세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는 미주・동남아 항로 등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파악되고 있다. 이는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수출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에 수출화물의 원활한 운송을 위해 국적선사 임시선박 투입, 국내기업 선적 공간 우선 제공, 선‧화주 간 건전한 운송계약 등 국적 해운선사와 수출기업 간 상생을 적극 도모하는 한편, 세계 경제 회복에 따른 물동량 증가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선사 인센티브 부여 등 물동량 유인책을 병행하여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