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비중 37%, 위기대응·항만분야 업무 확대

HMM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이 선정된 가운데 한 일간지가 HMM이 매각이 완료되면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해체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보도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해양진흥공사가 한진해운 정상화를 위해 조직된 태스크포스 성격을 가진 조직인데 HMM이 매각되면 기능이 크게 줄어들고 HMM 매각으로 확보한 4조원대의 현금성 자산도 묶일 수 있으니 해체가 필요하다는 보도다.

이 매체는 공사 설립후 2021년까지 해운산업 지원을 위해 6조 7407억원이 집행됐는데 이 중 52%가 HMM에 투입됐고 HMM을 제외하고 지원받은 98개 선사의 평균 지원금 규모는 330억원으로 HMM에 대한 지원이 절대적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공사 인력 중 70% 가까이가 HMM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업무를 하고 있다며 HMM 매각으로 공사의 역할이 줄어드니 아예 해체하라는 지적이다.

이러한 보도에 대해 해양진흥공사는 해명자료를 내고 사실과 다른 부분을 지적했다. 먼저 공사의 사업 비중이 HMM에게 과도하다는 지적에 대해 공사설립후 올해 9월까지 129개사에 9조 3481억원을 지원했고 HMM 비중은 37%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매체가 2021년 기준으로 공사의 HMM 지원 비중이 절반이 넘는 52%라고 지적했지만 실제로 2021년 HMM의 비중은 0.08%, 2022년은 8.3%, 올해 9월까지는 0.07%로 비중이 매우 낮고 누계 기준으로도 37%로 크게 낮아졌다. 공사 설립 초기 HMM에 대한 지원비중이 컸던 것은 사실이지만 HMM 경영이 안정화된 이후 지원 비중이 크게 낮아진 반면 다른 선사들에 대한 지원은 크게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HMM 관련 인력 비중이 공사 인력의 70%에 달하는 지적에 대해서더 공사 전체 174명중 HMM 관련 업무인력은 7명(경영지원단 3명 파견, 본사 구조조정지원팀 4명)으로 4% 수준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해양진흥공사 관계자는 “공사는 해운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가경제 발전 이바지라는 설립 목적에 따라 정부정책에 맞춘 다양한 중장기 사업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수조원 규모의 금융 소요가 예상되는 국적선사의 친환경 선대 구축 지원을 비롯해 최대 1조원 규모의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 마련해 우리 기업들의 국내외 항만물류 인프라 투자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HMM 매각 이후 역할론 축소 가능성을 일축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