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국내 항만연관산업 산업구조 진단
“정부 주도 고도화 역량 개발 지원 절실”

영세한 규모와 낮은 수익구조 등 만성적 문제를 안고 있는 국내 항만연관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이같은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고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최근 발표한 ‘KMI 동향분석’에서 세계적인 서비스 경제로의 전환 추세 및 선사의 영향력 강화로 인해 항만의 서비스 품질이 해당 항만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항만과 선박 운영에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만연관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과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업계의 자구적인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연 역량 또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항만연관산업은 선용품 공급, 선박연료 공급, 선박 수리, 컨테이너 수리, 검수·감정·검량 등 항만의 하역과 선박 운항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현재 국내에 등록된 항만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약 5300개사에 달하며 이들 전체 매출액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53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같은 해 해운업 전체의 매출액인 52조원에 비견되는 상당한 규모이지만 그동안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현재 국내 항만연관산업 사업체들은 대부분 영세한 규모와 낮은 수익구조 등 만성적인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KMI가 국내 5개 주요 항만지역에 등록된 사업체의 경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99%의 사업체가 중소기업에 속하며 특히 약 55%의 사업체는 종사자 10인 이하로 그 영세성이 도드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상가상으로 항만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관련 법인 「항만운송사업법」에 따라 집계가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업계 내 경쟁 역시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개년간 업계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대부분의 경영지표들도 악화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KMI는 밝혔다.

실제로 KMI가 항만연관산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용자들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기대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싱가포르, 로테르담 등 해외 선진항만들과의 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대다수 업종에서 해외 항만 대비 서비스 만족도가 열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항만연관산업의 서비스 품질 측정 결과 (출처 :KMI 동향분석)
항만연관산업의 서비스 품질 측정 결과 (출처 :KMI 동향분석)

반면 선진항만들의 경우 항만연관산업에 호의적인 정책 및 제도적 환경 조성, 시설의 규모화 및 현대화, 첨단기술을 적용한 생산성·안전성 개선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KMI는 밝혔다. 일례로 싱가포르는 항만연관산업의 발전을 위해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지원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거나,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한 외국인고용제도를 통해 안정적인 산업 환경을 조성하고, 표준 마련 등 체계화를 통해 국제 신뢰도를 제고하고 있다. 또한 로테르담항은 스마트 볼라드(계선주), 싱가포르항은 해상물품 드론운송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따라서 KMI는 국내 항만연관산업의 경영환경 개선과 서비스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고 업계의 자구적인 노력에 더해 정부의 지원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선용품공급업의 경우 과당경쟁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진출 및 타 산업과 연계된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현재 부산항만공사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산항 판로확대 지원사업’ 등 유사사업들의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수리업의 경우 현재 터미널 내 부지 임대를 통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서비스 품질, 특히 안전환경 확보를 위해 항만배후단지 등 터미널 외부에 대형 수리장을 조성하는 등 각 업종별 고도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항만연관산업 고도화 방안 및 정책 과제 예시 (출처 : KMI 동향분석)
항만연관산업 고도화 방안 및 정책 과제 예시 (출처 : KMI 동향분석)

KMI는 “최근 해양수산부 역시 「항만운송사업법」 개정 작업을 통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항만연관산업에 지원할 수 있는 근거 조항을 마련하는 등 산업 구조를 개선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정부의 지원 폭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밝히는 한편, “다양한 항만연관산업의 고도화 방안들을 통해 항만의 서비스 경쟁력 제고와 부가가치 증대뿐만 아니라, 국가 및 항만도시의 지역경제 성장도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해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